회계의 계정인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은 공간적인 개념입니다. 계정의 증가와 감소는 차변 또는 대변에 구분해서 기록해야 합니다. 호텔에 가면 프런트 데스크에서 내가 가야 할 방을 안내받듯이 계정과목이 가야 할 방에 대한 안내는 분개에서 해 줍니다.

계정의 구조
회계상 거래는 자산, 부채, 자본 및 수익, 비용의 5가지 계정에 기록하게 됩니다. 그럼 여기서 계정이란 무엇일까요?
재무상태표 계정은 자산, 부채, 자본이고 손익계산서 계정은 수익과 비용입니다.
우리는 컴퓨터에 자료를 저장할 때 여러 폴더를 만들고 그 폴더에 따라 자료를 구분해서 관리합니다. 계정이란 회계상 거래의 증감을 기록하는 공간으로 컴퓨터의 폴더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입니다. 하위폴더는 계정 과목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건물로 예를 들면 5층 건물은 1층은 비용계정, 2층은 수익계정, 3층은 자본계정, 4층은 부채계정, 5층은 자산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계정에 해당하는 각 층에는 복도를 사이에 두고 양 옆으로 계정과목을 의미하는 여러 방들이 있습니다.
회계상 거래로 인한 계정의 증감은 계정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기록하여 구분하게 됩니다. 자산의 증가, 비용의 발생은 왼쪽(차변)에 기록하고 부채의 증가, 자본의 증가, 수익의 발생은 오른쪽(대변)에 기록합니다.
가운데 복도를 넘어가면 반대되는 의미인 감소를 뜻합니다. 즉, 자산의 감소는 오른쪽(대변)에 기록하고 부채의 감소, 자본의 감소는 왼쪽(차변)에 기록합니다.
분개
회계상 거래가 발생할 때 그 거래의 원인과 결과를 해당 계정에 직접 기록할 수 있지만 이는 기록의 오류 또는 탈루가 발생할 위험이 있어 분개라는 중간적 단계를 거쳐 계정에 기록되게 하고 있습니다.
여행으로 호텔에 가면 내가 들어갈 방이 어디인지 모르기에 프론트 데스크에 가서 안내를 받듯이 회계상 거래가 발생하면 계정들은 자신이 어디로 가야하는 지 몰라서 우왕좌왕하게 됩니다. 이때 계정들이 가야 할 방을 안내해 주는 것이 분개입니다.
분개란 회계상 거래를 원인과 결과로 구분하여 어느 계정의 어느 계정과목으로 어느 변에 얼마의 금액으로 기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절차입니다.
5층 건물을 지을 때 자금이 부족해서 토지를 조금나 사고 건물의 밑을 역삼각형인 배 모양으로 짖게 되었기에 차변과 대변의 금액이 다르게 되면 건물은 균형을 잃게 됩니다. 이때 회계도 무너지게 됩니다.
즉, 분개에서 차변과 대변의 금액은 항상 같아야 하고 이것을 대차평균의 원리라고 합니다.
매출이 발생하여 현금 100원이 증가한 회계상 거래는 차변에 현금 증가, 대변에 매출 발생으로 분개되고, 차변의 현금 계정과목은 5층의 차변 501호로 대변의 매출 계정과목은 2층의 대변 201호로 안내되어 들어가게 됩니다.
5층 건물에서 1층과 2층을 떼어 내면 손익계산서가 되고 3층부터 5층을 떼어 내면 재무상태표가 됩니다.
회계상 거래는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부채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감소, 자본의 증가, 비용의 발생, 수익의 발생인 ‘거래의 8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 집니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회계상 거래를 기록하는 5가지 계정은 각 계정에서 비슷한 항목끼리 모아 놓은 특정한 공간인 계정과목을 가지고 있습니다.
계정과목의 생소함이 회계를 더 어렵게 하지만 자주 접해서 친숙해지면 회계가 쉬워질 것입니다.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에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인 자산과 경제적 의무인 부채 그리고 자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고서입니다.
손인계산사는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보고서입니다.
재무상태표의 이해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회계연도 말부터 1년 이내에 현금화가 에상되면 유동자산, 이외는 비유동자산
유동자산
유동자산은 당좌자산(현금, 보통예금, 외상매출금 등)과 재고자산(상품, 제품 등)으로 구분
비유동자산
비유동자산은 투자자산(만기보유증권, 매도가능증권 등), 유형자산(토지,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비품 등), 무형자산(특허권, 상표권 등) 및 기타비유동자산(임차보증금 등)으로 구분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회계연도 말부터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유동부채(미지급금, 외상매입금, 단기차입금 등)와 이외인 비유동부채(사채, 장기차입금)로 구분
손익계산서의 이해
매출액
영업활동(상품 판매 또는 용역 제공 등)에 의한 수입금액
매출원가
매출액에 대응되는 상품의 매입원가 또는 제품의 제조원가 등
판매비와 관리비
상품 등의 판매활동(광고선전비, 지급수수료 등)과 기업의 관리활동(인건비, 임차료 등)에서 발생하는 비용
영업외수익
주된 영업활동이 아닌 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이자수익, 배당금수익, 유형자산처분이익, 잡이익 등)
영업외비용
주된 영업활동이 아닌 활동에서 발생하는 비용(이자비용, 기부금, 유형자산처분손실, 잡손실 등)
법인세비용
기업의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법인세, 지방소득세 등)